• 회원가입
  • 로그인

  • 활동
    • 공지사항
    • 활동소식
    • 교육안내
    • 성명 및 논평
    • 카드뉴스
    • 영상갤러리
    • 이미지포스터
  • 참여
    • 후원안내
    • 회원활동
    • 자원활동
    • 인력채용
    • 나눔이야기
    • 명예의전당
  • 자료실
    • 소식지
    • 뉴스레터
    • 기타자료
  • 단체소개
    • 광주여성의전화는
    • 정관
    • 연혁
    • 조직도
    • 이용자 인권
    • 주요활동
    • 오시는길
    • 살림살이
  • 부설기관
    • 성평등교육원
    • 광주여성인권상담소
    • 바램
    • 한올지기
    • 하모니
    • 비상
  • 상담
    • 상담안내
    • 온라인상담

  • 활동

    공지사항

    활동소식

    교육안내

    성명 및 논평

    카드뉴스

    영상갤러리

    이미지포스터

  • 참여

    후원안내

    회원활동

    자원활동

    인력채용

    나눔이야기

    명예의전당

  • 자료실

    소식지

    뉴스레터

    기타자료

  • 단체소개

    광주여성의전화는

    정관

    연혁

    조직도

    이용자 인권

    주요활동

    오시는길

    살림살이

  • 부설기관

    성평등교육원

    광주여성인권상담소

    바램

    한올지기

    하모니

    비상

  • 상담

    상담안내

    온라인상담

활동성명 및 논평

활동

  • 공지사항
  • 활동소식
  • 교육안내
  • 성명 및 논평
  • 카드뉴스
  • 영상갤러리
  • 이미지포스터
상담안내

062)363-0442
062)363-0443

평일 : am9시 ~ pm5시

성명 및 논평

<화요논평>'낙태죄' 부활?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?
글번호 349 등록일 2020-12-10
등록자 운영자 조회수 1458명
다운로드

   

9917B7455FCF4C9702

99CC41455FCF4C9807

99D143455FCF4C9A03

9938A8455FCF4C9B09

991574455FCF4C9D3F

9982F5455FCF4C9E08

994183455FCF4C9F09

99DFD6485FCF4CA10C

99DF81485FCF4CA20B

99E0FC485FCF4CA30C

           

'낙태죄' 부활?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?

01_2019년 4월 11일 헌재의 ‘낙태죄’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라 2020년 말까지 개정안이 마련되어야 한다.

02_남은 기간은 단 24일, 한국 정부는 여성의 권리 보장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헌재 결정에 위배되는 후퇴한 입법을 하고 있다

03_지난 11월 정부가 입법예고한 ‘낙태죄’ 관련 법 개정안, 형법 처벌조항 유지

04_주수와 사유에 따른 제한적 허용, 상담 의무, 숙려기간 의무, 의사의 거부권 등 여성의 건강권 및 자기결정권 보장과 거리가 먼 조항 다수 포함

05_오늘 8일 오전10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‘낙태죄’ 형법 개정안 공청회 개최

- 기한 한 달여를 남기고 형법 개정안이 정식 논의되는 사실상 첫 절차

- 공청회에 참석하는 진술인 8명 중 낙태죄 전면 폐지 의견을 가진 진술인 단 2명에 불과

06_심지어 경찰은 지난 9월과 10월 개최한 ‘낙태죄’ 비범죄화 기자회견에 참여한 활동가들을 소환, 조사하는 등 국가는 여성들의 정당한 목소리를 입막음 하려고 한다.

07_ 전히 ‘낙태’를 처벌하고 여성의 권리를 제한적으로 ‘허용’하겠다는 국가

‘낙태죄’의 부활? 우리는 반드시 돌파해야 한다

            

○ 제14회 여성인권영화제 피움톡!톡! 낙태죄의 부활?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?

2020년 12월 8일 오후 7시 유투브 생중계

https://youtu.be/RR4NCdVRpwc

       

○ 14회 여성인권영화제 상영관 http://theater.fiwom.org


이전글 <연대성명서>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형식적이고 편파적인 공청회를 규탄한다
다음글 <성명서> 한국사회 성차별의 역사이자 현장인 여성노동자 김진숙의 복직을 촉구합니다!
목록
  • 회원공간
  • 이용약관
  • 개인정보보호정책
  • 이메일무단수집거부

(사)광주여성의전화

대표자 : 박수경 | 사업자번호 : 609-82-19414
주소 : 광주광역시 서구 내방로 404번길 15(농성동 391-49)
전화 : 법인: 062-363-7739 / 상담: 062-363-0442, 0443 | 팩스 : 062-363-0486 | e-mail : kjwhl@hanmail.net
후원계좌 : 광주은행 122-107-323636
Copyright 2019. (사)광주여성의전화 All Rights Reserved.

상담안내
평일 : am9시 ~ pm5시
전화 : 062) 363-0442. 0443